본문 바로가기

책 서평

[서평] 리드 개발자로 가는 길

728x90
반응형

개발자 커리어에는 다양한 길이 있다.

 

대부분의 개발자로서의 커리어는 주니어 개발자로 시작하여 시니어 개발자가 되고, 시니어 개발자로 인정을 받아 팀장이 되고, 팀장을 넘어 기술 리더가 되어 CTO의 역할을 맡으면서 리더십과 관련된 커리어를 만들어 가는 경우를 생각하지만 주니어 개발자로 시작하여, 은퇴하기까지 개발자로서의 커리어를 이어가는 사람도 있다.

 

물론, 개발자로 시작하여 PM이나 PO와 같은 다른 직군의 커리어를 만들어 가는 사람도 있다.

 

나는 개발자로서의 커리어를 만들어가면서 다양한 리더들을 만나면서 좋은 리더란 어떤 리더인가를 많이 고민하였다.

사람마다 생각하는 좋은 리더의 조건이 다를 것이며, 내가 생각하는 리더와 다른 사람이 생각하는 리더의 차이는 분명히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개발자로 커리어를 만들어가면서 많은 리더를 만나보진 못했지만, 다양한 리더를 만나보았다.

대표적으로 2가지 유형에 대해서 겪으면서 서로의 장/단점에 대해서 많은 고민을 해보았다.

  • 기술적으로 뛰어난 리더이지만, 소프트스킬이 다소 아쉽다고 생각한 리더
  • 소프트스킬인 뛰어나지만, 기술적인 방향성과 관련된 부분이 다소 아쉬운 리더

기술적으로 뛰어난 리더는 팀에서 겪고 있는 기술적 부채를 해결해 주는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커뮤니케이션과 같은 소프트 스킬이 부족하다면 타 팀과 협업하는 과정에서 팀원으로서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반대로 소프트스킬은 뛰어나지만 기술적인 스킬이 부족한 리더는 팀 내부적으로 해당 스킬을 채워줄 만한 팀원이 필요했다.

 

나는 2025년에 들어 리더십과 관련된 많은 고민을 할뿐더러 좋은 리더가 되기 위해서는 어떤 스킬을 조금 더 익혀야 하는지 고민을 많이 하였다.

 

그러던 중 제이펍에서 "리드 개발자로 가는 길"이라는 책이 출판되었고, 서평단을 신청하여 제이펍을 통해서 책을 제공받아서 먼저 해당 책을 읽어보았다.

책 소개

리드 개발자로 가는 길 (출처: 제이펍)

이 책은 개발자를 위한 책이라고 할 수 있을 만큼 다른 직군이 읽기에는 다소 좋은 내용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책의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개발자를 위한 책이며, 다른 직군이 리더십과 관련된 내용을 참고하기 위해서 읽기에는 다소 부족하다고 생각한다.

 

개인적으로 개발자라면 경력을 쌓을수록 멘토링의 역할도 굉장히 중요하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주니어 개발자라면 본인이 생각하는 좋은 리더는 어떤 리더인가를 생각하면서 읽어보면 좋을 것 같다고 생각이 든다.

 

특히, 각 챕터별로 '리드 개발자 이야기'가 나오는데, 해당 부분이 개인적으로 좋았던 부분 중 하나이다.
다만, 해당 책이 영어로 된 원서를 번역한 책이기 때문에 한국 개발자에 대한 내용이 없어서 매우 아쉬울 것 같지만..

 

한국어판의 경우 부록으로 한국의 리드 개발자 10명의 이야기가 추가적으로 들어가 있어서 굉장히 만족스러웠다.

012
한국의 리드 개발자 10명의 이야기 중 일부

목차

목차는 아래와 같다.

리드 개발자란 어떤 개발자인지를 시작으로, 커리어와 관련된 내용, 협업과 관련된 내용, 공감과 관련된 내용을 끝으로 책의 내용이 끝이 난다.

CHAPTER 01 리드 개발자란? 1
1.1 리드 개발자가 될 수 있는 사람 2
1.2 리드 개발자의 업무 10
1.3 리드 개발자에 대한 기대 24

CHAPTER 02 리드 개발자의 커리어 경로 36
2.1 소프트웨어 개발자 역할 37
2.2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커리어 여정 51
2.3 리드 개발자를 위한 채용 시장 61

CHAPTER 03 리드 개발자 기술 배우기 74
3.1 새로운 기술 학습의 우선순위 정하기 76
3.2 자신만의 리더십 스타일 찾기 85
3.3 프레젠테이션 기술 향상 94

CHAPTER 04 개발에 필요한 기술의 학습 106
4.1 학습 방법 개선 107
4.2 기술의 적용 115
4.3 학습 방해 요인 극복하기 123

CHAPTER 05 기술 문서 작성 134
5.1 성공을 위한 팀 구성 135
5.2 문서 구조 143
5.3 내용 작성 148
5.4 문서 유지 관리 주기 구현 154

CHAPTER 06 개발 프로세스 최적화 164
6.1 프로세스 개선 기회 식별하기 166
6.2 피드백 수용하기 175
6.3 소프트웨어 개발 수명 주기 검토 180
6.4 개발 프로세스 유지 관리 186

CHAPTER 07 프로젝트팀 간 협업 198
7.1 교차 학습 프로젝트 관리 기술 199
7.2 정확한 예상 비용 산정 206
7.3 의사소통 촉진하기 215
7.4 프로젝트 관리 프로세스 개선 222

CHAPTER 08 클라이언트와 대화하기 235
8.1 클라이언트의 필요 이해하기 236
8.2 기술적 접근 방식 제안 242
8.3 클라이언트와의 관계 형성 250
8.4 까다로운 클라이언트 대처 257

CHAPTER 09 멘토 되기 269
9.1 멘토란 무엇인가? 270
9.2 멘티와의 관계 형성 279
9.3 개인적 및 직업적 성장 독려하기 285
9.4 받은 만큼 베풀기 292

CHAPTER 10 주도권 잡기 303
10.1 명확한 지침 제공하기 306
10.2 피드백 제공하기 313
10.3 긴급 상황 처리 320
10.4 자신감 키우기 328

CHAPTER 11 감정 지능으로 이끌기 340
11.1 감정 지능이란 무엇인가? 341
11.2 감정 지능 활용하기 351
11.3 급진적 공감의 학습 359
11.4 어려운 대화 나누기 365
11.5 가면증후군 피하기 372

CHAPTER 12 성공적인 리드 개발자 되기 384
12.1 자신의 역량 평가하기 385
12.2 도약하기 395
12.3 경영진과의 협업 404

추천 독차

이 책은 책을 수령하고 14일 동안 출/퇴근길에 버스와 지하철에서 읽으면서 많은 생각을 하게 되었다.

누구나 리더가 될 수 있지만, 좋은 리더는 아무나 될 수 없다.

 

이 말이 떠오를 만큼 내가 생각하는 좋은 리더는 어떤 리더인지를 생각하게 해 주었고 커리어를 쌓아가면서 리더가 된다면 어떤 리더가 될지에 대한 고민을 많이 해준 책이다.

 

나는 개인적으로 이 책을 3-5년 차에 해당하는 주니어 개발자가 한 번쯤 좋은 리더란 어떤 리더인가를 고민하면서 읽어보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하였다.

사람에 따라 좋은 리더에 대한 기준이 다르지만, 누군가는 언젠가 상황에 따라 리더가 될 수 있기에 주니어 연차에서부터 리더와 관련된 고민을 한다면 갑작스러운 리더 자리 제안에도 당황하지 않고 그 역할을 해낼 수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728x90
반응형


Calendar
«   2025/1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Visits
Today
Yesterday